테슬라 주춤, BYD 유럽 확장 본격화…미중 긴장 속 전기차 패권 경쟁 격화
미중 긴장 고조, 테슬라 하락세…전기차 시장 불안정한 흐름
14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테슬라(Tesla) 주가는 전일 대비 1.53% 하락한 429.24달러로 마감했다.
직접적인 악재는 없었지만, 미중 무역 갈등이 재점화되면서 전반적인 투자심리가 위축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최근 중국은 미국과의 군사 및 무역적 갈등 속에서 한국의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 5곳에 제재를 가하고, 상대국 선박에 추가 수수료를 부과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를 “경제적 적대 행위”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 같은 정치·경제적 긴장이 겹치며 미국 기술주 전반이 약세를 보였고, 나스닥과 S&P500이 하락하자 테슬라도 동반 하락했다.
루시드·리비안 상승세…테슬라만 하락한 이유는?
흥미로운 점은 같은 날 다른 전기차 종목들은 오히려 상승했다는 것이다.
루시드(Lucid)는 2.48% 상승하며 21.92달러를 기록했고, 리비안(Rivian)도 0.46% 오른 13.12달러로 마감했다.
이러한 차이는 테슬라의 글로벌 노출도와 정치적 민감성 때문이다.
테슬라는 미중 양국 모두에 생산거점을 두고 있어, 양국 간 갈등이 심화될 때마다 주가 변동성이 커진다. 반면 루시드와 리비안은 북미 중심의 내수형 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단기적인 정치 리스크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슬라는 지난 한 달간 8%, 올해 들어서 6% 상승하며 기술주 회복세의 핵심 기업으로 여전히 자리하고 있다.
BYD, 스페인에 세 번째 유럽 공장 추진…유럽 시장 장악 속도
한편 중국의 전기차 제조사 BYD(비야디)는 스페인을 세 번째 유럽 공장 후보지로 검토 중이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BYD는 이미 헝가리와 터키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으며, 스페인 공장 설립은 유럽 내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평가된다.
스페인은 낮은 제조비용과 친환경 전력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BYD가 선호하는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다만 최종 결정은 중국 정부의 승인이 필요하며, 현재 미중 및 중-유럽 간의 무역 긴장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BYD는 향후 3년 내에 유럽 내 판매 차량 전량을 현지 생산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최근 몇 달간 유럽 시장에서 테슬라보다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며 급격히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유럽 시장, 전기차 경쟁의 새로운 전장
테슬라가 여전히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의 기술 리더임은 분명하지만,
BYD를 비롯한 중국 전기차 제조사들은 ‘가격 경쟁력+현지 생산’ 전략으로 유럽 시장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특히 유럽 각국 정부가 전기차 보조금 확대, 내연기관 규제 강화에 나서면서 시장은 더욱 빠르게 성장 중이다.
스페인·헝가리·터키 등은 유럽의 신흥 전기차 제조 허브로 부상하고 있으며,
BYD가 이 지역에 잇따라 공장을 세우는 것은 테슬라를 정면으로 겨냥한 유럽 공세로 풀이된다.
“미중 리스크보다 유럽 경쟁이 더 큰 변수”
전기차 전문가들은 이번 흐름을 두고 “단기적으로는 미중 갈등이 주가에 영향을 미치지만,
장기적으로 테슬라의 진짜 위협은 BYD의 유럽 확장”이라고 평가한다.
테슬라가 여전히 기술력과 브랜드 파워 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나,
BYD는 가격, 생산 속도, 지역 다변화에서 앞서고 있다.
결국 향후 2~3년간의 전기차 시장 주도권은 유럽 현지 생산망 확보 경쟁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결론:
미중 무역 갈등이 다시 불붙은 가운데 테슬라는 단기 조정세를 보였지만,
중국 BYD는 유럽 시장 진출로 글로벌 전기차 판도를 재편할 ‘두 번째 전기차 전쟁’을 준비 중이다.
이제 전기차 패권의 중심은 미국이 아닌, 유럽 대륙으로 이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