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vs 머스크: SpaceX는 지켰지만, 테슬라는 흔들린다
SpaceX는 지켰다... “계약 중단 어렵다” 판단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일론 머스크와의 거리 두기를 공식화한 이후, 미국 행정부는 머스크가 운영하는 SpaceX와의 연방 계약을 재검토했습니다. 그러나 결론은 의외였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국방부와 NASA를 포함한 주요 기관들은 SpaceX의 기술력과 시장 지배력을 고려해 “대부분의 계약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로켓 발사와 위성 통신 분야에서 대체 불가능한 위치에 있는 SpaceX는 최근에도 59억 달러 규모의 국방 계약을 체결하며, 정부와의 신뢰 관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머스크와의 관계를 끊자고 제안한 상황에서도, SpaceX만큼은 ‘국가 안보’라는 타이틀 아래 사실상 손을 대기 어려운 영역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테슬라는 달랐다... 전기차 핵심 소재 ‘흑연’에 관세 폭탄
하지만 머스크의 또 다른 사업, 테슬라(Tesla)에게는 상황이 달랐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중국산 흑연에 무려 93.5%의 반덤핑 관세를 예고했습니다. 기존 관세를 합치면 총 160%가 넘는 폭탄 수준입니다.
이로 인해 테슬라는 직접적인 공급망 부담에 직면하게 됐고, “국내 생산만으로는 공급망이 안정되지 않는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흑연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음극재에 사용되는 필수 원재료로, 관세가 본격 부과되면 전기차 한 대당 생산 비용이 $7/kWh 이상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EV 시장은 물론, 중고차 시장까지 ‘이중 타격’
관세는 전기차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이는 시장 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동시에 전기차 세액 공제(최대 $7,500)를 종료하면서, 소비자 부담은 이중으로 커졌습니다.
심지어 중고차 시장까지 흔들리는 상황입니다. 콕스 오토모티브(Cox Automotive)에 따르면 중고차 평균 가격은 2022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신차 수요 위축과 생산 지연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됩니다.
테슬라의 리스크, SpaceX의 방패
한 손으로는 SpaceX를 지키고, 다른 손으로는 테슬라를 압박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은 머스크에게 엇갈린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SpaceX는 국가 기반 인프라로 인정받는 반면, 테슬라는 아직 ‘민간 시장 내 경쟁자’로 분류되며 정책 리스크에 직접 노출된 셈입니다.
앞으로 미국 대선 국면에서 머스크의 행보가 정책과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지, 그리고 테슬라가 관세 압박을 어떻게 돌파할지가 핵심 변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