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충격에 전기차 주가 급락… 테슬라, 리비안, 루시드의 향후 전망은?

 

미국 증시 충격에 전기차 주가 급락… 테슬라, 리비안, 루시드의 향후 전망은?

미국 증시 충격, 전기차 업계 흔들리다

28일(현지시간) 미국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예상보다 높게 발표되면서 뉴욕 증시가 급락했다. 이에 따라 테슬라(NASDAQ:TSLA) 3.51%, 리비안(NASDAQ:RIVN) 4.69%, 루시드(NASDAQ:LCID) 4.13%가 각각 하락하며 전기차 업계도 큰 타격을 입었다. 이번 하락은 단순한 조정일까, 아니면 장기적인 하락의 신호일까?

테슬라, 악재 속 주가 하락… 원인은?

테슬라 주가는 이날 3.51% 하락한 263.55달러를 기록하며 시가총액도 8,477억 달러로 감소했다. 이번 하락의 주요 원인은 PCE 충격과 함께 RBC 캐피털 마켓의 부정적인 분석 보고서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테슬라의 1분기 인도량은 34만 6,000대로 예상되며, 이는 시장 컨센서스인 39만 8,000대를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지역별로 미국에서 5%, 중국에서 48%, 유럽에서 2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글로벌 수요 둔화를 시사하는 신호일 수 있다.

하지만 테슬라는 9주 연속 하락세를 끊고 지난 한 주 동안 5.97% 상승하며 반등의 조짐도 보였다. 따라서 현재의 조정이 일시적인 것인지, 혹은 하락세의 지속적인 흐름일지는 추가적인 경제 지표와 업계 동향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

전기차 업계 전체에 미치는 영향

테슬라뿐만 아니라 리비안(-4.69%), 루시드(-4.13%) 등 주요 전기차 기업들도 동반 하락했다. 이는 전반적인 투자 심리 위축과 함께, 최근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발표한 자동차 관세 정책의 영향도 한몫하고 있다.

트럼프는 최근 모든 수입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으며, 이는 한국과 일본 자동차 기업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과 일본 자동차 업체들은 전기차와 배터리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지만,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미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만약 미국이 한국과 일본 업체들의 배터리 공급망을 위축시키면, 결국 중국 업체들이 시장을 장악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블룸버그 역시 이번 조치를 두고 "자동차 패권을 중국에 바치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향후 전망: 단기 조정인가, 장기적 하락세인가?

현재 전기차 업계의 주가는 거시경제 변수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 PCE 물가지수 상승으로 인해 연준(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낮아졌으며, 이는 고성장 기술주와 전기차 업계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트럼프의 자동차 관세 정책이 실제로 시행될 경우, 미국 내 전기차 시장의 가격 경쟁력과 공급망에도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볼 때,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는 여전히 유효하다. AI와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 각국 정부의 친환경 정책 확대, 인프라 구축 등이 전기차 업계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테슬라의 경우, 여전히 AI 및 로보택시 분야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배터리 기술 개발에서도 지속적인 혁신을 이루고 있다.

결국, 현재의 조정은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의 일부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거시경제 지표와 자동차 관세 정책의 향방을 면밀히 살펴보며 신중한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다음 이전